몰라도 상관없는 인생꿀팁!
잠의 중요성
오늘의 [몰라도 상관없는 인생꿀팁] 은 "잠의 중요성"이다. 대학생을 포함한 모든 학생들은 지금 방학이라고 맨날 늦게까지 게임을 하거나 술을 마시거나 하면서 잠을 제대로 못자는 사람들을 위해 잠이 얼마나 중요한지에 대해 알려주고 싶어서 글을 써보려 한다.
1. 잠을 자야하는 이유
뇌의 관점에서 잠이 뇌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서 실험을 하나 해보았다고 한다. 세 그룹으로 나눠서 영어단어 20개를 10분간 외우고 그걸 기억하냐 못하냐를 알아보는 실험이다.
최초 공부 10분 경과 후
A 그룹은 2시간 후 시험.
B 그룹은 잠도 자지 않고 24시간 후 시험.
C 그룹은 24시간 동안 충분한 휴식과 충분한 수면 후 시험.
시험 결과 영어단어를 잘 기억한 순서대로는 C -> A ->B 가 나왔다.
C 그룹의 경우 단어를 공부하고 나서 24시간이나 지난 상태인데 해당 그룹이 2시간 밖에 안지난 그룹보다 기억을 더 잘하는 이유는 해마가 수면을 취하는 동안 단기기억을 장기기억으로 바꾸는 데에 있다. 1
쉽게 말해서 뇌의 되새김질이라고 보면 된다. 학창시절에 막 공부를 할때는 모르겠는데 자고 일어나면 이상하게 기억이 잘 났던 경험들이 있지 않나? 없으면 뭐 할 말 없고, 이런 경우가 생기는 이유가 바로 이런 이유에서라고 한다.
잠을 잘 자야 집중력, 판단력과 기억력이 최대로 회복된다.
2-1. 적정 수면시간
많이 잔다고 해서 무조건 좋은건 아니다. 잠도 적당히 자야 건강에 좋다. 성인기준 7~8시간으로 권장하고 있지만, 개인마다 적정수면시간은 다르다. 가장 좋은 시간은 자고 일어나서 머리가 아프지 않고 눈의 피로가 없을 정도로 자는게 제일 좋다고 하는데 나는 얼마를 자도 일어나면 눈아프고 개운하다는 느낌을 받은 적이 별로 없는거 같다.ㅠㅠㅠ
아무튼 중요한거는 위와 같은 식으로 잠을 충분히 잔다면 잠에 드는 시간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는 거다. 그래도 밤 12시가 지나기 전에는 꼭 잠에 들어라. 호르몬은 그 시간까지만 나온다. 이런 소리가 어디서 나온지는 모르겠는데, 이건 수면 환경과 수면의 질에 따라 달려있다.
조용하고 어두운 암실의 방에서 잔다면 아침 8시에 잠이 들든 낮 3시에 잠이 들든 상관이 없다.
수면 호르몬인 멜라토닌은 눈에서 빛을 인식하는데 빛이 적게 들어오면 나오기 시작한다. 그러니 조용하고 아주 어두운 공간이라면 잠이 드는 시간은 크게 중요하지 않다.
그래도 출근하거나 학교를 다니면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게 제일 좋다. 백수들은 집에서 잘 때 건강이라도 생각해야하니까 방에 암막커튼 달고 가족들 전부 나가고 조용해지면 그때 자는 걸 추천한다.
2-2. 최소 수면시간
최소 수면시간 역시 개인마다 다른데 대충 7시 기상 한다고 쳤을 때 오후 2~3시경 졸음이 오지 않을 때 까지 자는걸 최소 수면시간이라 한다.
아침시간 때부터 피곤하다는건 운동능력과 인지능력, 상황 판단력이 떨어지게 되고, 소지품을 잃어버리거나 교통사고를 당할 위험이 높아진다는 말이다.
3. 수면장애
4. 잠을 자기에 좋은 환경
마무리
잠 때문에 스트레스 받거나 교대근무로 밤낮이 바껴서 잠자는 패턴이 이상한 사람들은 이 글을 보고나서 조금이라도 도음이 됬으면 한다. 모두들 좋은 밤 보내고 즐거운 꿈 꾸길 바란다.
오늘의 요약
1. 잠을
2. 잘자야
3. 성공한다
- Hippocampus [본문으로]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동차 경고등 | 자동차 계기판 표시등 (0) | 2023.03.14 |
---|---|
난방비 지원금 최대 59만 2천원, 난방비 지원대상, 신청방법 (0) | 2023.02.07 |
대한민국 최연소 재벌. (한국의 50대 부자 中) (2) | 2019.04.18 |
대학교 학생회비 꼭 내야 하나요? 학생회장 출신이 밝히는 학생비의 모든것. (5) | 2019.01.29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