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이라면 한 번쯤은 먹어봤을 한방약인 우황청심환(원)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자. 참고로 우리가 현대에 먹고 있는 우황청심환의 정식 명칭은 '우황청심원'이 맞다
환은 우황.당귀등 10여 개의 약재로 조제하는 거고 원은 우황. 사향. 당귀. 용뇌. 서각 등 30여 개의 약재로 조제되는 차이점을 가지고 있다.
성분 차이가 나는 만큼 약효나 용법도 당연히 다르지만 우황청심환이 거의 고유명사로 불리고 있는지라 시중에 우황청심환으로 팔리고 있는 제품의 대다수가 사실은 우환 청심원이 맞다.
1. 우황청심원의 역사
우황청심환이 처음 문헌에 언급된건 중국 송나라 대관 원년 (1107년) 진사 문이 지은 태평 혜민 화제 국방이라는 책이다. 그렇다 하더라도 원래 존재하던 처방을 진사 문이 처음 글로 옮겼을 확률 또한 충분하므로 그 역사가 더 오래됐을 수도 있다고 볼 수 있다.
참고로 1107년은 고려 예종 치세라 그 유명한 윤관 장군이 여진 오랑케 뚝배기를 까부수고 동북 9성을 얻었던 시기였는데 아무튼 송나라를 통해 고려에도 전래되었고 발전을 거듭하다 병신 애자 선조임금 시대 명의 허준이 지은 동의보감에 우황청심원이라는 명칭으로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우황청심원 원류의 조제법이 정립됐다.
2. 우황청심원 재료
산약 7돈, 감초(볶은 것) 5돈, 인삼 ·포황(볶은 것) ·신곡(볶은 것) 각 2돈 반, 서각 2돈, 대두황권(볶은 것) ·육계 ·아교(볶은 것) 각 1돈 7푼 반, 백작약 ·맥문동 ·황금 ·당귀 ·방풍 ·주사(수비한 것) ·백출(白朮) 각 1돈 반, 시호 ·길경 ·행인 ·백복령 ·천궁 각 1돈 2푼 반, 우황 1돈 2푼, 영양각 ·사향 ·용뇌 각 1돈,석웅황 8푼, 백렴 ·건강(싸서 구운 것) 각 7푼 반, 금박 120장 (이중 40장은 겉에 입힌다), 대추 20알(쪄서 살만 발라 짓찧어 고약을 만든다). 열거한 재료들을 그에 맞는 방법으로 각자 가공한 뒤, 가루를 내어 대추고와 졸인 꿀을 섞은 밑재료에 넣고 잘 반죽한다. 각 재료를 고르게 섞은 뒤 1냥으로 10 환씩 만들어 금박을 겉에 입힌다. 매번 1환씩 따뜻한 물에 풀어 먹는다.
위에 있는 레시피가 우황청심원의 조제법이라고 하는데 그중 주약이 되는 것이 바로 우황.주사.사향이야 다른 약재도 나름의 역할이 있겠지만 우황청심원의 공인된 효능인 신경안정 효과가 저 세 가지에 의해 만들어진다 볼수있다.
우황은 소,양,영양 같은 반추동물(되새김질하는 포유류) 쓸개(담낭)에 생긴 염증덩어리(담석)다. 때문에 우황은 굉장히 귀한 약재인대 그럴것이 건강한 소를 도축했을땐 나오지도 않고 오히려 건강이 악화된 상태의 소를 잡아야 조금씩 나오는 귀중한 약재이기 때문에 짝퉁이 많이 유통되고 있다고 한다.
우황을 가지고 있는 소는 담석이 담관을 막아 굉장한 통증을 야기해 성질이 거칠고 난폭해지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에 이를 토대로 성질이 더러운 소를 도축하여 얻었다고 한다.
주사는 황화수은의 결정체를 곱게 빻아 가루낸 돌가루인데 수은은 우리 몸에 몹시 안좋다. 그러다보니 주사는 수비(물을 사용해서 특정한 물질을 걸러내는 법제 방법)를 통해 그 독성을 약하게 만든 다음 사용했는데
그렇게 써도 인체에 안전하다 말할수 없는 맹독성 약재이긴 하다.
우황청심원에 바로 이 주사가 들어가 있어서 탕약(액체)형태가 아닌 환(고체) 형태라 만들어 복용한다 볼 수 있는데 주사에 열을 가하면 황화수은이 불리되서 수은이 녹아서 나오기 때문이다. 한 가지 재밌는 점은 황화수은이 중진안신제로 신경계에 작용하여 광증이나 조증을 안정시킨다는건 현대의학에도 그 효능을 인정하지만 정확히 어떠한 기전으로 그런 효과가 나타나는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샤항은 수컷노루의 생식기 부근 향신낭으로 암컷을 유혹하기 위한 페로몬 분비샘이지 독특한 향도 가지고 있어서 이 때문에 인간들도 이성을 유혹하기 위한 도구로 사향을 향낭에 넣어 지니고 다니거나 향수의 재료로 사용하기도 했는데 현대의학에서 사향안에 들어있는 무스콘이라는 물질이 심장근육의 수축력증대 혈류량 증대에 효과가 있다는 사실을 연구로 밝혀냈다.
3. 우황청심원의 효과
우황청심원은 뇌졸중,고혈압,각종 마비 증상,부정맥.불안증 공황장애발작등에 효능이 입증됐는데 현대의학에 사용되는 벤조디아제핀(디아제팜,미다졸람 등) 계열 신경안정제와 유사한 기능을 보여주고 있어 우황에 들어있는 콜릭산과 빌리루빈, 주사가 가지고 있는 황화수은, 사향의 무스콘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그러한 약효 낸다고 볼 수 있는데 여러 논문등을 통해 그 약효는 입증 되었지만 인체에 작용하는 완벽한 기전이 밝혀진건 아니라 많은 아쉬움이 있다.
그리고 주사는 너무 맹독성 약재라 현재는 거의 사용을 안하고 빼버렸기 때문에 요즘 시판되는 우황청심원에
원류와 동일한 효능을 기대하는건 어려운 현실이기도 하다.
※ 당신을 위한 추천 컨텐츠
'[생활정보]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티아민? 숙취에 도움되는 비타민 (0) | 2022.06.22 |
---|---|
따듯한 밥 보다 찬밥을 먹는게 다이어트에 더 좋다? (0) | 2022.06.22 |
대파 효능 및 섭취시 주의사항, 대파 보관방법 (0) | 2022.03.23 |
대파의 놀라운 효능 10가지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3.23 |
운동하기 전 아메리카노(커피) 한 잔? (0) | 2022.02.28 |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