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놀랍게도 따듯한 밥보다 차갑게 식은 밥의 열량이 더 낮아 찬밥을 먹는 것이 다이어트에는 더 도움이 된다고 한다. 밥이 식으면 따뜻할 때보다 열량이 최대 60%까지 줄어든다고 하는데 이유는 밥에 포함된 전분이 소화되기 어려운 상태의 '저항성 전분'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저항성 전분이 많은 찬밥을 먹으면 소화 속도가 느려 포만감이 오래간다. 혈당을 천천히 올리기 때문에 당뇨 환자에게도 좋다.
또, 저항성 전분이 식이섬유와 비슷한 역할을 하면서 지방 흡수를 막고, 배변 활동을 도와준다고 한다. 다만, 뜨거운 밥을 바로 냉동하면 전분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아 효과가 없다.
반응형
밥물에 쌀 한 컵당 식용유를 1~2 티스푼 넣어 밥을 짓고, 따끈하게 지은 밥을 12시간 정도 냉장 보관하면 저항성 전분의 함량이 높아지는데 냉장 보관했던 밥은 전자레인지에 1분간 가열해 먹으면 된다.
하지만 소화기관이 안 좋은 사람이 찬밥을 너무 많이 먹으면 소화 장애, 복통 등이 생길 수 있고, 밥을 실온 보관하면 식중독균이 번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반드시 냉장 보관해야 한다.
※ 당신을 위한 추천 컨텐츠
'[생활정보] >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멀미하는 이유, 멀미 예방 방법 (0) | 2022.08.30 |
---|---|
티아민? 숙취에 도움되는 비타민 (0) | 2022.06.22 |
우황청심환(원)의 역사와 효능 (0) | 2022.06.10 |
대파 효능 및 섭취시 주의사항, 대파 보관방법 (0) | 2022.03.23 |
대파의 놀라운 효능 10가지에 대해 알아보자 (0) | 2022.03.23 |
Comments